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6

[JAVA] 표준프로토콜 준수는 아주 중요하다 이건 굳이 자바에 쓸 이야기는 아니지만 표준 프로토콜 문서는 아주 중요하다 물론 어떤 문서인지에 따라 표준이라는 프로토콜이 하위버전 문서와 일관성이나 완전히 다른 경우가 있으나 이경우는 제외하고 실제로 각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서로 맞추어 사용하는 프로토콜 버전이 다른경우 조금이라도 다른경우 잘못해서 사용하는 쪽에서 올바르게 맞추어사용하는게 맞다. 클라이언트가 프로토콜을 잘못 이해해서 사용한 와중에 더 이상 연락이나 변화가 불가능한경우라면 서버에서 맞춰주어야 하기 때문에 염두에 두고 변경이나 유동성이 필요하다. 여튼 표준 프로토콜은 대부분 상, 하위간 버전이 다른경우에도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통신시 데이터가 어떻게 들어오고 있구나. 만 알고있는것보다, 표준 문서라는것이 있다라는 알게되.. 2022. 3. 4.
[Database/Oracle]오라클 테이블 스페이스 추가하기 alter TABLESPACE 테이블 스페이스 이름 add DATAFILE '+DATA' SIZE 30G AUTOEXTEND OFF; EX) alter TABLESPACE Test_TABLE_SPACE add DATAFILE '+DATA' SIZE 30G AUTOEXTEND OFF; 아 맞다 이거 우리 회사에서 사용하는거라 +DATA 부분이 라거나 사용해야하는 쿼리가 다를 수 있음. 2022. 3. 4.
[JAVA] 문자열 -> 시간 DATE 객체 변환 총정리 수신받은 메시지에서 시간(문자열) 확인 후 현재시간과 비교하기위해서 시간객체로 비교를 해야하는데 1. 수신 문자열 String (수신문자열) -> SimpleDateFormat 을 통한 수신 Date 객체 생성. 2. Calendar 생성 후 비교용 Date 생성 3. 수신 Date 객체와 비교용 Date 객체 비교 하는데 SimpleDateFormat formater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HHmmss"); 이거 쓰기 package Main;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Calendar; import java.util.Date;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2022. 2. 7.
[JAVA] 공공데이터포털 윈도우에서 수신 인코딩문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한글이 포함된 JSON 데이터를 수신할때 생긴 인코딩 문제다. 컴파일된 jar 파일을 실행할때 바로가기 파일을 이용하여 "자바 설치 경로 java.exe" -jar 컴파일된 파일명.jar 을 이용하여 실행하는데 "자바 설치 경로 java.exe" -D"file.encoding=UTF-8" -jar 컴파일된 파일명.jar 이렇게 실행 옵션을 추가해주면된다. ------------------------------------------------------------------------------------------------------------------ -------------------------------------------------------------------------.. 2022. 1. 24.
통계 데이터 생성 오류 잦은 이유 자꾸 통계 만들때마다 오류 발생하는 부분 1. 데이터가 없는 시간대의 값들을 0으로 생성해놓고선 통계 낼때 0으로 생성된 값을 이용한다. -> 평균치가 말도 안되게 낮아짐 2. merge 문 사용할때 키값을 잘못사용함. (아이디), 날짜 로 사용하는데 날짜의 값을 잘못 사용해서 update 로 적용되어야하는 쿼리가 insert로 들어가면서 무결성 오류가 발생됨 dual로 쿼리결과 2021년 x월 x일 12시 00분을 집어넣었을때 -15분한 데이터를 문자열로 호출하도록 했으나 쿼리결과가 2021xxxx114500가 아닌 2021xxxx120000으로 나오거나 하는 상황이 발생함 (사용하는 시간 범위만 다른 값을 이용하므로 오타가 발생했으나 쿼리문을 복사 붙여넣기 하면서 잘못 적은것을 인지하지 못했음.) (.. 2021. 12. 29.
포트상태 대략정리 네트워크 통신시 필요한 정보는 아이피와 포트번호다. 이글에서 다룰건 포트 상태에 따른 접속 가능 여부인데 윈도우, 리눅스에서 커맨드 창으로 확인가능한데 listening, establish, time_wait, sync 상태로 분류할 수 있고 하나의 포트가 두개 이상의 상태를 가질 수 없다. listening 은 포트가 열린 상태로, 클라이언트가 접속 가능한 상태의 포트다. establish 는 연결이 된 포트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서버에서는 포트에서 또 다른 클라이언트를 접속 받을 수 있다. time_wait의 상태는 연결이 종료되고 포트가 닫히기를 기다리는 상태이며 이상태는 설정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60초라고 생각하면된다. sync 의 상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요.. 2021. 12. 21.
728x90
반응형